vim으로 진행하려다가, vscode-server라는 오픈소스가 있어서 공유하면서 저도 쓰려고 합니다.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21.02.10)
pkg update
pkg install nodejs
pkg install nodejs-lts
pkg install build-essential
pkg install python
pkg install yarn
pkg install git
yarn global remove code-server : 처음 설치 했다면 당연히 에러납니다.
yarn global add code-server : 본래 github에 있는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권한 문제로 fail됩니다.
이렇게되면 설치가 된 것이고 한번 실행을 해주셔야 설정파일이 생성이 됩니다.
실행방법 : code-server 폴더명
~/.config/code-server/config.yaml
위 경로의 파일을 수정 해야하는데 수정하기 위해서 어쩔수 없이 vim을 설치해야합니다.
혹시 모르니 vim-python 으로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링크 : Vim에 자동완성 기능 추가하기 (tistory.com))
pkg install vim-python
vim을 사용하는 법을 따로 설명드리진 않겠습니다.
vim ~/.config/code-server/config.yaml
bind-addr 0.0.0.0으로 하셔야 다른곳에도 접속 가능한 웹서비스로 구동됩니다.
그러고 나와서 루트폴더에 auto_bit 이란 폴더를 만들고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기입하였습니다.
저는 비밀번호 없는 방식으로 만들었지만 비밀번호 입력방식으로 하셨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조금 기다리면 다음과 같이 VSCODE가 실행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SH를 활용하여 vim 이나 vscode 쓰려고 했는데 더 편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