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하며 개발을 계속 준비중인데, 개발환경을 세팅하는데 나름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21.02.16)
결과적으로 jupyter + code-server 의 조합으로 진행될 것 같습니다.
jupyter : 테스트용
code-server : 개발용
code-server를 따로 노트북에서 열게되니 저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 보안 문제로 Extension이 동작하질 않습니다. ㅠㅠ
알아보니까 http 프로토콜에서 https 프로토콜로 변경해야하고 인증서도 설치해야한다는데... 이쪽 방면에는 지식이 전무합니다.
나름 찾아서 정리한 내용을 작성합니다.
일단 code-server의 파일을 수정합니다.
vim ~/.config/code-server/config.yaml
이렇게 하면 기존에 외부에서 접속되는 것이 내부만 접속이 됩니다.
(노트북 두고 덱스로만 개발하는건 좀 불편하긴 합니다.)
이걸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게 해야합니다.
프로젝트 4번의 기타 부분에 있는 아래 두개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termux에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경로를 추가로 설정해줍니다.)
curl -LO https://its-pointless.github.io/setup-pointless-repo.sh
bash setup-pointless-repo.sh
pkg install nginx : https 를 사용하기 위한 웹서버
vim com.termux/files/usr/etc/nginx/nginx.conf : 파일을 수정해야합니다.
결과적으로 남겨야하는 소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디테일하게 알아본건 아니지만....
https://내아이피:8081 로 들어온 것을 http://localhost:8080 으로 포워딩 해주는겁니다.
즉, code-server가 127.0.0.1:8080 이니 여기로 연결한다고 해도 될것 같습니다.
code-server "프로젝트폴더명" : 저같은 경우엔 code-server auto_bit
nginx : 자동실행되어 있을테니 입력 안하셔도 될겁니다.
안전하지 않음이나 되는건 되더라구요.
인증서 부분은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향후에 해결하게되면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러니 저러니 해도 결국 vim 세팅은 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테스트 하다보니까 제가 만든 link 따라 하니 제대로 안되네요,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참고 :
Code Server - 구축편 (hakawati.co.kr)
Code Server - 구축편
페이지 목차 Code Server - 구축편 컨텐츠 목차 소개 구축 code-server 구축 및 설정 code-server 구축 code-server 운영 옵션 code-server 시스템 서비스 설정 NginX 구축 및 설정 NginX 구축 NginX의 패스워드..
www.hakawati.co.kr